본문 바로가기
Info

디지털 음원 발매 과정

by RefineNews 2025. 1. 20.

가장 간단하게 멜론, 애플뮤직 등의 음원 플랫폼에 음원을 발매하는 과정을 알려드립니다

크게 4단계로 나눠볼 수 있습니다.

 

1. 음원 준비 

직접 작곡을 한 곡이 있는 경우:

셀프 녹음을 하거나 집 주변 녹음실을 대여해서 녹음을 진행합니다. 

보통 한프로 (3시간 반) 정도인데, 잘 찾아보면 30분 단위로 빌릴 수 있는 녹음실도 있습니다. 

 

곡을 구매하는 경우:

beatstars.com 같은 사이트에서 비트를 구매합니다.

아래처럼 여러 라이센스 종류가 있는데, 고퀄의 믹싱 & 마스터링을 생각해서 Stem 파일(소리 별로 파일이 나누어져 있는)을 받을 수 있는 Premium Plus 이상의 라이센스를 추천합니다. 

곡을 구매하고 똑같이 녹음 작업을 진행하면 됩니다. 

 

2. 믹싱 & 마스터링 

녹음한 보컬과 비트를 합쳐서 상업 음원 수준으로 만드는 과정입니다. 

큐베이스, 로직 등의 프로그램(DAW)을 사용해서 직접 작업하거나 외주를 맡기는 방법이 있습니다. 

가격은 천차만별이지만 제가 찾아본 곳 중에 가장 가성비가 좋았던 곳은 다해서 15만원 정도였습니다. 

 

3. 프로필 & 앨범 자켓 

프로필(선택사항): 전문 스튜디오에 가서 비싸게 촬영하는 방법도 있지만, 가성비를 생각하는 경우 셀프 사진관에 가서 직접 찍는 방법도 있습니다. (표준 규격: 600x600 이상 2500x2500 이하 픽셀 + 정사각형 이미지)

앨범 자켓(필수사항): 저작권이 없는 이미지 (pixabay.com)에서 골라서 작업할 수도 있고, 크몽 같은 온라인 중개 업체를 통해 외주를 맡길 수 있습니다. (표준 규격: 1400x1400 픽셀 이상 + 정사각형 이미지)

※ 참고: 뮤직비디오도 선택사항입니다.

 

4. 유통사 알아보기

음원이 완성되면 저희가 멜론, 지니 뮤직 등에 직접 연락하는게 아닙니다.

유통사를 통해서 발매를 해야합니다. 루미넌트, 포크라노스, 카이오스 등 여러 유통사를 알아보시고 (수수료 등) 각 회사별 양식에 따라 발매 신청을 해야합니다. 보통 1주일 이내로 답변이 오는 것 같습니다.

 

아래는 예시인데, 이런식으로 검수가 완료되면 필요한 서류들을 유통사에서 요청하게 됩니다. 

 

위의 내용처럼 음원 발매를 어렵지 않게 진행할 수가 있습니다. 

다음 글에는 발매한 음원 관련 저작물 등록(저작, 실연권 등)에 대한 글을 작성하겠습니다 ! 

'Info' 카테고리의 다른 글

30대 남성 영양제 루틴  (2) 2025.01.26
재즈의 발전과 루이 암스트롱  (3) 2025.01.25
1900년대 초반 재즈의 발전  (1) 2025.01.24
유튜브 공식 아티스트 채널 신청  (1) 2025.01.22
음원 발매 이후 저작물 등록  (3) 2025.01.21